티스토리 뷰
영화 '서울의 봄'이 개봉을 하면서 '12.12사태'가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12.12사태'는 1979년 12월 12일 대한민국 육군 내 불법 사조직인 하나회의 일원인 전두환이 주도하여 일으킨 군사 쿠데타입니다. 이로서 군사정권인 제5공화국이 시작되게 됩니다.
사건이 발생한 이래로 문민정부(김영삼) 시기까지는 주로 12.12사태 또는 12.12사건으로 불렸으나 김영삼의 '역사바로세우기 사업'을 거치며 반정부 군사 쿠데타(내란)로 재정의되어 공식적으로 '12.12 군사반란'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12.12군사반란 원인
1979년 10.26 사건이 일어나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하게 됩니다. 그 후 합동수사본부장을 맡고 있던 보안사령관 전두환과 육군참모총창 겸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사이에 사건수사와 군 인사문제를 놓고 갈등이 있었습니다.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는 군부 내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정승화가 김재규로부터 돈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10.26 사건 수사에 소극적이고 비협조적임을 내세워 정승화를 강제 연행하기로 합니다.
12.12군사반란 전개
11월 중순 국방부 유학성, 황영시, 차규헌, 노태우 등과 함께 모의를 한 후 12월 12일을 거사일로 결정하여 정승화의 연행 계획을 수립하도록 했습니다. 정승화가 연행에 저항할 가능성이 있는 인물들을 보안사 비서실장이 유인하여 연희동 요정의 연회에 초대했습니다.
유인에 성공하여 정승화의 연행을 순조롭게 할 수 있었고, 전두환이 박희도와 장기오에게 지시하여 국방부와 육군본부를 점령하고 육군지휘부를 무력화시켰습니다.
정승화의 연행소식이 알려지면서 정병주와 장태완이 수도권 인근의 병력을 동원하여 신군부의 군사반란에 대응하려 했지만 신군부는 전방을 지키던 노태우의 9사단의 도움을 받아 정병주와 장태완을 체포하고, 반란 진압군을 무력화시켰습니다.
당시 대통령 최규하의 재가 없이 위와 같은 사건이 발생했으며, 사후에 대통령 승인을 받기 위해 신군부가 최규하를 압박하였지만, 국방장관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면 거절하였습니다. 이에 신군부는 국방장관을 체포하여 대통령이 정승화의 연행을 동의할 수 있도록 설득하여 13일 새벽에 대통령이 정승화의 연행을 허가하게 됩니다.
12.12군사반란 결과
군사반란이 성공하며 신군부는 빠르게 정권을 장악하였습니다. 전두환은 대장, 중앙중보부장을 거쳐 대통령에 이르렀으며 노태우 역시 대장, 내무부 장관을 거쳐 대통령을 했습니다. 이 밖에 군사반란에 가담한 신군부 인원들도 주요 요직을 차지했었습니다.
또한 12.12군사반란의 성공으로 신군부는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언론을 통제하여 민주헌정을 중지시키고 군정으로 회귀하려 하였습니다. 이 때 많은 국민과 정치인들이 저항운동을 펼쳤었고,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령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5.18 민주화 운동이 시작되게 되었습니다.
12.12 군사반란 주도자의 최후
이 사건의 주도자인 전두환과 노태우는 대통령으로 재임한 1993년 초까지 12.12군사반란은 집권 세력에 의하여 정당화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후의 김영삼 대통령이 사실규명에 나서면서 문민정부는 '하극상에 의한 쿠데타적 사건'으로 규정하였고, 1995년 전두환과 노태우는 12.12군사반란의 가담, 뇌물 수수 등으로 기소되어 1997년 징역형과 추징금을 선고받았지만 같은 해에 사면되었다고 합니다.
영화 '서울의 봄'
2023년 11월 22일 개봉 한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서울에서 발생한 군사반란으로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뀌었다. 대한민국을 뒤흔든 10.26 사건 이후 서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왔지만, 그것도 잠시 12월 12일 전두광이 반란을 일으키고 군 내 사조직을 총동원하여 최전선의 전방부대까지 서울로 불러들이게 됩니다. 권력에 눈이 먼 전두광의 반란군과 이에 맞서는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을 비롯한 진압군의 대립에 일촉즉발의 9시간이 흘러가게 되고, 목숨을 건 두 세력의 팽팽한 대립이 펼쳐지는 치열한 전쟁을 다루는 영화입니다.
현재 박스오피스 1위이며 관람객 평점 9.57점을 자랑합니다. 김성수 감독의 작품이며, 주연으로는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등이 출연합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 엑스포(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투표결과, 개최일, 브리핑 (0) | 2023.11.30 |
---|---|
워케이션 뜻, 지역별 워케이션 프로그램 알아보기 (0) | 2023.11.28 |
국가전산망, 주민등록시스템(모바일신분증) 오류 먹통 원인과 대책 (0) | 2023.11.28 |
개통 예정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 알아보기 (GTX - A, B, C, D, E, F) (0) | 2023.11.21 |
2024년 출시 기후동행카드(월 6만 5천 원 무제한 대중교통카드) 신청하기 (0) | 2023.11.20 |